
가수와 제목
박효신/눈의 꽃
가사
어느새 길어진 그림자를 따라서
땅거미진 어둠 속을 그대와 걷고 있네요
손을 마주잡고 그 언제까지라도
함께 있는 것 만으로 눈물이 나는 걸요
바람이 차가워지는 만큼
겨울은 가까워 오네요
조금씩 이거리 그위로
그대를 보내야했던 계절이 오네요
지금 올해의 첫 눈꽃을 바라보며
함께 있는 이 순간에
내 모든걸 당신께 주고 싶어
이런 가슴에 그댈 안아요
약하기만 한 내가 아니에요
이렇게 그댈 사랑하는데
그저 내 맘이 이럴 뿐인 거죠
그대 곁이라면 또 어떤 일이라도
할 수 있을 것만 같아 그런 기분이 드네요
오늘이 지나고 또 언제까지라도
우리 사랑 영원하길 기도하고 있어요
바람이 나의 창을 흔들고
어두운 밤마저 깨우면
그대 아픈 기억마저도 내가 다 지워줄게요
환한 그 미소로
끝없이 내리는 새하얀 눈꽃들로
우리 걷던 이 거리가
어느새 변한 것도 모르는 체
환한 빛으로 물들어가요
누군갈 위해 난 살아갔나요
무엇이든 다 해주고 싶은
이런 게 사랑인 줄 배웠어요
혹시 그대 있는 곳 어딘지 알았다면
겨울밤 별이 돼 그댈 비쳤을 텐데
웃던 날도 눈물에 젖었던 슬픈 밤에도
언제나 그 언제나 곁에 있을게요
지금 올해의 첫 눈꽃을 바라보며
함께 있는 이 순간에
내 모든 걸 당신께 주고 싶어
이런 가슴을 그대 아나요
울지 말아요그저 그대의 곁에서
함께 있고 싶은 맘뿐이라고
다신 그댈 놓지 않을게요
끝없이 내리며 우릴 감싸온
거리 가득한 눈꽃 속에서
그대와 내 가슴에 조금씩
작은 추억을 그리네요
영원히 내 곁에 그대 있어요
가사해석
'어느새 길어진 그림자를 따라서
땅거미진 어둠 속을 그대와 걷고 있네요'
두 남녀는 손을 잡고 거리를 걷고 있다
길어진 그림자 나는뜻는 해가 저물면 그림자가
길어지기 때문에 해 질 녘을 말한다
땅거미진 어둠 속은 해가 진 뒤에 어스레한 상태
또는 어두워지는 상태를 말한다
' 손을 마주 잡고 그 언제까지라도
함께 있는 것 만으로 눈물이 나는 걸요'
손을 마주잡고 함께 있는 것만으로도
언제까지라도 눈물이 난다는 뜻은
사랑하는 사람의 마지막이 다가왔음을 뜻한다
연인끼리 손을 잡고 거리를 걷는 것은
자연스럽고, 감격할 정도로 특별한 일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주인공의 시점에서는
손을 마주 잡고 함께 있는 것만으로도
눈물이 난다는 것은
지금 이 순간의 소중함을 알려준다
' 바람이 차가워지는 만큼 겨울은 가까워 오네요
조금씩 이 거리 그위로 그대를 보내야 했던
계절이 오네요'
그녀를 떠나보낸 후 어느덧 일 년이 지났다
또 다른 겨울이고 , 오늘은 그녀의 기일이다
그녀의 영정사진 앞에서 추억을 회상한다
' 지금 올해의 첫 눈꽃을 바라보며 함께 있는 이 순간에
내 모든 걸 당신께 주고 싶어 이런 가슴에 그댈 안아요
약하기만 한 내가 아니에요 이렇게 그댈 사랑하는데
그저 내 맘이 이럴 뿐인 거죠'
그녀의 첫 기일, 때마침 첫눈이 내리기 시작한다
주인공의 마음속에는 여전히 그녀와 함께이다
두 눈을 감으며 마음 안에 품고 있는 그녀를
같이 있는 것과 같이 표현하였고,
올해의 첫눈을 함께 맞고 있다
아직 못다 한 사랑 때문에 모든 것을 주고 싶고,
나의 일상을 함께 하고 싶은 마음이다
'약하기만 하지 않은 나를 보라고'
'당신 없어도 나 이렇게 잘 지낸다고'
'가슴에 품고 지낼 수만 있으면 된다고 '
주인공만의 방식으로 죽은 그녀를 품고 있다
주인공은 그렇게라도 하지 않으면 너무 괴로울 것이다
' 그대 곁이라면 또 어떤 일이라도
할 수 있을 것만 같아 그런 기분이 드네요'
사람은 나약해지거나 의지하고 싶을 때
부모님이나 하느님 부처님 등을 찾는다
하지만 , 가사 속에 주인공은 가슴에 품은 그녀와
함께라면 무엇이든 할 수 있다고 한다
살아생전 각별하고 단단한 사이였고,
많은 의지를 했던 것으로 보인다
' 오늘이 지나고 또 언제까지라도
우리 사랑 영원하길 기도하고 있어요'
주인공의 삶이 다할 때까지
주인공의 여자는 그녀일 것이다
' 바람이 나의 창을 흔들고 어두운 밤마저 깨우면
그대 아픈 기억마저도 내가 다 지워줄게요
환한 그 미소로'
바람이 창을 두드리고 , 어두운 밤에도
잠을 이루지 못하는 모습이 보인다
그녀가 떠나가고,
모든 신경이 예민한 상태이다
안 좋은 기억들 아팠던 기억들도
주인공이 다 짊어지고 가겠다는 각오가 보인다
그녀가 좋아했던 주인공의 환한 미소로 말이다
' 끝없이 내리는 새하얀 눈꽃들로 우리 걷던 이 거리가
어느새 변한 것도 모르는 체 환한 빛으로 물들어가요'
그들의 추억이 담긴 거리 위로 하얗게 눈들이 쌓였고,
그녀와 함께 다녔던 거리의 추억들이
환상처럼 보인다는 것을
환한 빛으로 물들어간다고 표현하였다
' 누군갈 위해 난 살아갔나요 무엇이든 다 해주고 싶은
이런 게 사랑인 줄 배웠어요'
소복하게 쌓인 하얀 눈을 좋아했던 그녀였고,
그녀는 눈 덮인 거리를 주인공과 걷는 것을 좋아했다
이제 주인공은 그녀의 옆에서
그녀가 좋아하는 것들을
해줄 차례라고 생각한다
그녀를 위한 삶을 살 것이라는 추측을 한다
그녀가 조건 없는 사랑을 줬듯이, 주인공역시도
조건없는 사랑을 하고 있는 것이다
' 혹시 그대 있는 곳 어딘지 알았다면
겨울밤 별이 돼 그댈 비쳤을 텐데
웃던 날도 눈물에 젖었던 슬픈 밤에도
언제나 그 언제나 곁에 있을게요'
그녀가 있는 곳을 찾아가 , 목숨을 맞바꿔
하늘에서 겨울밤 별이 되어 그녀를 지켜주고 싶은
주인공의 마음이 담긴 가사이다
모든 날, 모든 순간들을 기억하며
언제나 함께하고 곁에 있겠다는 주인공이다
' 울지 말아요 나를 바라봐요 그저 그대의 곁에서
함께 있고 싶은 맘뿐이라고 다신 그댈 놓지 않을게요'
꿈에 그녀가 찾아와서 주인공을 보며 울고 있다
본인을 못 있고 마음에 품고 살아가는 애인이
불쌍하고 애틋하고 힘에 겨워 보였기 때문이다
주인공은 그런 그녀에게 눈물을 닦아주며
'나는 괜찮다 단지 함께 하고 싶은 마음이다'
라며 그녀를 다독여 준다
영혼이라도 함께 하고싶은 마음이 보인다
' 끝없이 내리며 우릴 감싸온 거리 가득한 눈꽃 속에서
그대와 내 가슴에 조금씩 작은 추억을 그리네요
영원히 내 곁에 그대 있어요'
끝없이 내리는 눈 속에서 주인공과 그녀는
작을 추억을 그린다
그들에게 있어 작은 추억은
이미 한번 떠나온 혹은 떠나보낸 추억을 뜻할 것이고
영원히 내 가슴속에 있어달라는 말은
육체는 내 곁에 없지만 영혼이라도 함께 하자는
메시지가 담겨있다
리뷰
2004년 11월 15일 발매된 곡이다
원곡자는 일본의 나카시마 미카이고
박효신이 리메이크한 곡이다
원곡 가사가 겨울이 다가옴을 느끼면서
예전부터 함께 해 온 연인과
앞으로도 변함없는 사랑을 해갈 것이라는 내용이다
반면에 박효신이 부른 눈의 꽃은
겨울에 한 번 이별했다가
겨울과 함께 다시 만난 연인과
다시는 헤어지지 않을 것을
다짐하는 내용으로 양쪽의
가사가 비슷하면서도 조금 다르기도 하다
처음 발표됐을 때는 일본 원곡이 있다는 게
꽤 알려져 있었지만
세월이 지나면서 2020년대 기준
10대들은 딱히 찾아보지 않는 한
어찌 보면 당연하게도 이 곡이 따로 원곡이 있는 곡이라는 걸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사실 알아도 애초부터 보컬 성별부터가 달라
취향이나 들리는 맛도 다르고
무엇보다 2000년대 나온 이 곡이
2020년대에도 젊은 층에 어느 정도
인지도가 있는 건 국내 최상위권
보컬리스트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
박효신의 대표곡 중 하나인 점이 커서 애초에
주목 이유가 다르기 때문도 있기 때문이다
2004년 당시에 녹음된 음원 버전과
2013년까지의 라이브에서는
음원 버전의 키 그대로 라이브로 부르기도 했디
이 당시에 박효신이 눈의 꽃을 부르다가
성대결절을 겪은 적이 있었다
박효신의 노래인 야생화 및 숨
창법으로 부르기 시작한 2014년부터 2016년
콘서트까지는 한 키를 낮춰서 부르고
음원 버전보다 템포를 느리게 해서 불렀다
2019년 콘서트에서는 키를 더 낮추었지만(-5 키)
하이라이트 부분은 음을 더 높여서 불렀다
피아노 연주는 자제하고 어쿠스틱
반주를 통해 확연히 색다른 편곡을 하였다
박효신의 보컬 특징은 부드러우면서
호소력 있는 독창적인 음색과
자신만의 곡 해석 능력과 뛰어난 가창력과
로봇같이 완벽한 라이브다
풍부한 성량과 그걸 받쳐 주는
복압or저음or고음or허스키or스크래치
말끔한 성구전환or바이브레이션 등
박효신이 쓰지 못하는
테크닉이나 소리를 찾기 힘들 정도다
일단 타고난 음색이 좋고
성량과 감정 또는 음감과 리듬감
더불어 기교도 탁월하다
특히 기본적인 폐활량이 뛰어나 단단하고
긴 소리를 내고도 아무렇지 않게
다음 소절을 이어 나갈수 있다
심지어 호흡이 비교적 많이 섞인 창법인데도
일반인이 따라 하기 힘들 정도로 긴 음을 낸다
감성적인 부분에 있어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발라더 중 한 명 답게
넓은 감성 폭을 보여주는 것 같다
테크닉적인 부분에 있어서도 흑인 음악(알앤비&소울)을
과거에 많이 해왔던 보컬리스 트인 만큼
고난도의 기교&애드리브
(스크래치, 꺾기, 성구전환 등)를 손쉽게 선사한다
곡마다 혹은 곡 안에서도
다양한 창법 활용을 하여 맑고
부드러운 음색부터 허스키하고
단단한 음색까지 보여준다
뮤지컬 활동 후로 발성 면에서
발전이 있었다고 본인도 인정했다고 한다
눈에 띄는 점은 엄청난 성대 접촉과
엄청난 공간감에서 나오는 공명이라 생각한다
더불어 그동안의 음악 활동과 앨범에서
다양한 목소리를 보여준 만큼
최근에서는 다양한 창법으로
노래와 장르마다 다양한 목소리를 보여주기도 한다
뮤지컬도 극(엘리자벳, 모차르트, 팬텀, 웃는 남자)
마다 음색과 발성을 달리하며
흔히 성대를 갈아 끼운다 라는
표현이 알맞을 정도다
실제로 콘서트를 가면
박효신의 맑고 부드러운 미성부터
굵고 허스키한 음색과 엄청 단단한 목소리까지 곡마다
다양하게 들을 수 있다
수 중에서도 가수라고 불리는
이유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번곡'눈의 꽃'은 박효신의 대표곡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박효신의
모든 것이 담겨있는 곡이라
많은 분들에게 꾸준하게 사랑받고
글쓴이 또한 꾸준하게 들을 수 있는 곡인 것 같다
연인과 함께 눈덮힌 하얀 거리를 걸을때
이어폰 한쪽씩 나누어끼며 듣게되면
그 시절 2000 감성에 젖는 하루를 보낼것이다
끝으로 짧고 굵은 리뷰를 끝마친다
'발라드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view] 한국 발라드 로이킴(Roy Kim) - 잘 지내자, 우리(Let's take care of ourselves, we)/가사/해석 (125) | 2023.11.23 |
---|---|
[review] 한국 발라드 태연(Taeyeon) - 그대라는 시(A poem called you)/가사/해석/리뷰 (126) | 2023.11.22 |
[review] 한국 발라드 장덕철(Deokchul Jang) - 파도(wave)/가사/해석/리뷰 (110) | 2023.11.20 |
[review] 한국 발라드 윤종신(Jong Shin Yoon) - 좋니(Is it good)/가사/해석/리뷰 (162) | 2023.11.19 |
[review] 한국 발라드 인순이(Insooni)-거위의꿈(dream of goose)/가사/해석/리뷰 (63) | 2023.11.18 |